hopedevelopment

hopedevelopment

  • 분류 전체보기 (71)
    • Node.js (2)
    • JavaScript (3)
    • TypeScript (2)
    • NestJS (3)
    • Git (1)
    • Algorithm (51)
      • 백준 (20)
      • 프로그래머스 (30)
      • HackerRank (1)
    • Book Review (0)
    • 취업준비 (0)
    • 일상 (1)
    • Computer Science (2)
      • Algorithm (1)
      • Computer Architecture (0)
      • Data Structure (1)
      • DataBase (0)
      • Network (0)
      • Operating System (0)
      • Architecture (0)
    • DeepLearning (1)
    • Project (2)
      • SearchMyCoding (1)
      • Panorama-Converter (1)
      • 다중 데이터 증강 기법 (0)
    • 회고 (0)
    • Go (0)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hopedevelopment

컨텐츠 검색

태그

BOJ js Migration 백준 MaxHeap nestJS python programmers DP dynamic programming pyTorch TypeScript JavaScript SinGAN BFS TypeORM forRootAsync go 프로그래머스 MinHeap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Algorithm(51)

  • [JavaScript] 백준 1874 : 스택 수열

    class : 2 level : silver 2 문제 링크 : 백준 1874 1874번: 스택 수열 1부터 n까지에 수에 대해 차례로 [push, push, push, push, pop, pop, push, push, pop, push, push, pop, pop, pop, pop, pop] 연산을 수행하면 수열 [4, 3, 6, 8, 7, 5, 2, 1]을 얻을 수 있다. www.acmicpc.net My Solution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 input = input.split('\n').map(Number); const n = input.shift(); let first ..

    2022.07.13
  • [JavaScript] 타겟 넘버

    level : 2 문제 링크 : Level 2 - 타겟 넘버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My Solution function solution(numbers, target) { let answer = 0; const len = numbers.length; function dfs(depth,sum){ if(depth===len){ answer += ((sum===target)?1:0); return; } dfs(depth+1,sum+numbers[depth]); dfs(depth+1,sum-numbers[depth]); } dfs(0,0)..

    2022.07.11
  •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백준 1003번 문제는 피보나치 함수 문제이다. 피보나치 수열은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DP)의 예제로 유명하다. 0과 1이 몇 번 출력 되는 횟수는 fibonacci(0)과 fibonacci(1)이 되는 횟수를 구하면 되는 것이다. 문제를 자세히 보니 n이 1보다 클 경우 fibonacci(0)과 fibonacci(1)이 되는 횟수가 각각 피보나치 수열을 띄고 있었다. fibonacci(0)이 되는 횟수 : fibonacci(n-1) fibonacci(1)이 되는 횟수 : fibonacci(n) 즉, n이 2이상일 경우에 동적 계획법을 사용하여 피보나치 함수를 만든 후에 각각 그 값을 반환해 주면 되는 것이었다!! ※주의※ 출력 시, string으로 출력해야 됩니다. a=[0,1..

    2022.02.06
1 ··· 6 7 8 9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